시작하며 : 여성사와 나 . . . . . . . . . . . . . 17
제 I 편 여자들 ·여성사의 논점 31
제 1 장 여자들의 위치 . . . . . . . . . . . . . 33
1.1 여성의 위치는 변했는가 . . . . . . . . . . 33
1.2 ‘신상 상담’에 대한 답변 . . . . . . . . . . 35
1.3 결혼관의 변화 . . . . . . . . . . . . . . 37
1.4 부부별성의 문제 . . . . . . . . . . . . . 39
1.5 가정관 . . . . . . . . . . . . . . . . . . 42
1.6 취직관 . . . . . . . . . . . . . . . . . . 43
1.7 노동의 변화 . . . . . . . . . . . . . . . 45
1.8 ‘주부’의 시대 . . . . . . . . . . . . . . . 46
1.9 성별역할 분업과 교과서 . . . . . . . . . . 48
1.10 ‘주부’로부터의 이탈과 새로운 문제 . . . . 51
1.11 아그네스 논쟁이 제기한 것 . . . . . . . . 53
1.12 남자들의 전환기 . . . . . . . . . . . . . 56
1.13 새로운 여행의 출발 . . . . . . . . . . . . 58
1.14 여성의 현재와 미래 . . . . . . . . . . . . 60
1.15 세계 여성의 해와 차별철폐조약 . . . . . . 61
1.16 여성문제의 풍화 . . . . . . . . . . . . . 63
1.17 성적 폭력 . . . . . . . . . . . . . . . . . 65
1.18 부인교풍회의 활동 . . . . . . . . . . . . 69
1.19 ‘레이프’의 시점 . . . . . . . . . . . . . . 69
제 2 장 여성사는 지금 . . . . . . . . . . . . . 75
2.1 여성사 연구의 담당자들 . . . . . . . . . . 75
2.2 기초적 사실의 해명 . . . . . . . . . . . . 78
2.3 근현대사에 대한 관심 . . . . . . . . . . . 79
2.4 여성사 논쟁 . . . . . . . . . . . . . . . 81
2.5 남성사에 대한 충격 . . . . . . . . . . . . 83
2.6 『일본 부인문제 자료집성』. . . . . . . . . 86
2.7 여성의 시점 . . . . . . . . . . . . . . . 90
2.8 민간학에 대한 공헌 . . . . . . . . . . . . 91
2.9 여성사 ·여성학의 융성 . . . . . . . . . . 93
2.10 지자체사 ·노동운동사와 여성 . . . . . . . 94
2.11 여성사의 문제점 . . . . . . . . . . . . . 97
2.12 여성사에 대한 두 가지 태도 . . . . . . . . 100
2.13 사회 과목 폐지와 여성사 . . . . . . . . . 101
제 II 편 여성사 다시 보기 103
제 3 장 여자들과 국가 . . . . . . . . . . . . . 109
3.1 여성의 사회참여 . . . . . . . . . . . . . 109
3.2 국가로의 흡수 . . . . . . . . . . . . . . 111
3.3 부선운동과 이치카와 후사에 . . . . . . . . 114
3.4 총동원체제로 . . . . . . . . . . . . . . . 119
3.5 거부의 논리와 참여의 논리 . . . . . . . . 121
3.6 국방부인회 . . . . . . . . . . . . . . . . 123
3.7 부엌에서 거리로 . . . . . . . . . . . . . 125
제 4 장 모성의 논리 . . . . . . . . . . . . . . 129
4.1 여권주의와 모성주의 . . . . . . . . . . . 129
4.2 모성보호논쟁 . . . . . . . . . . . . . . . 130
4.3 ‘모성’의 성화 . . . . . . . . . . . . . . . 131
4.4 히라쓰카 라이초와 다카무레 이쓰에 . . . . 133
4.5 국가와 모성 . . . . . . . . . . . . . . . 136
4.6 ‘이에’의 해체와 모성의 역할 . . . . . . . . 138
4.7 군국의 어머니 . . . . . . . . . . . . . . 140
4.8 전후 사회에서의 ‘모성’ . . . . . . . . . . 144
4.9 ‘모성’의 탐구 . . . . . . . . . . . . . . . 147
4.10 성차로서의 모성 . . . . . . . . . . . . . 149
제 5 장 여성학과 여성사 . . . . . . . . . . . . 153
5.1 여성학의 탄생 . . . . . . . . . . . . . . 153
5.2 여성사는 여성학에게 무엇을 주었나 . . . . 156
5.3 바지에서 치마로 . . . . . . . . . . . . . 157
5.4 화장과 복장 . . . . . . . . . . . . . . . 159
5.5 여성사는 여성학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 162
5.6 계급지배와 성지배 . . . . . . . . . . . . 163
5.7 신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 . . . . . . . 165
5.8 부인문제 연구와 여성학 . . . . . . . . . . 166
5.9 성역할의 유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