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학

김형식
50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6(14명)
0.5
4
5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14명)
코멘트
더보기

‘좀비’를 주제로 역사·과학·철학·정치·문학·문화·사회현상 등을 종횡하며 비평하고, 어떻게 우리 시대에 좀비가 주체로서 거듭나게 되었는지를 면밀히 분석한다. 이 책은 종말과 파국의 시대에 맞서 여전히 희망을 추구하며, 좀비를 혁명적으로 재사유하려는 분투의 결과물이다. 우리가 좀비라는 사실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냉소나 포기, 체념 따위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오히려 파국의 세계에 대항하려는 긍정의 역능으로서, 불굴의 의지이자 자기 확신의 표명이다. 우리는 왜 좀비였고, 여전히 좀비이며, 앞으로도 좀비여야만 하는가? 삶/생명을 파괴하는 체제에 대항하는 좀비혁명이란 무엇인가? 이 책은 그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다. 인간의 신체는 좀비를 잉태하고 있는 배아이며, 부드러운 살은 좀비에게 탐스러운 과육과도 같은 식량이자 동력이다. 제 몸으로 좀비를 낳고, 제 살을 먹여 좀비를 길러 번성시키는 인간은 좀비의 유일한 원천이자 부모다. 부모와 닮은 자식은 태어나면서부터 부모의 죽음을 꿈꾸며, 항상 우리의 곁에 상존한다. 그러므로 좀비학의 탐구는 인간학에 근접하되, 보완하거나 지지하기 위한 순접으로서가 아니라, 인간학의 치명적인 안티테제로서 역접한다. 좀비는 자기 근거적, 자기 규정적, 자기 입법적인 주체, 이 주제넘은 주체를 무참히 전도하고 배반하며, 내부에서 폭발시키고 해체한다는 의미에서 우리 시대 가장 첨예한 안티-휴먼적 표상이다. 그리고 그 잔재 위에서 도래할 새롭고 활력적인 존재론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미래적 현재, 도래할 인간에 대한 도발적인 상상이며, 실재적인 포스트휴먼 주체다.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6(14명)
0.5
4
5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들어가는 글 ― 좀비의 눈으로 보기 낯선 존재와의 만남 10 좀비의 어원 13 좀비열풍 : 세계를 정복한 좀비 14 서울 한복판에 좀비 출몰? 19 노예좀비부터 포스트좀비까지 21 지금, 여기의 좀비사회 26 책의 구성과 내용 29 좀비는 누구의 이름인가? 30 1부 좀비란 무엇인가? 1장 예외상태의 괴물과 회복되지 않는 일상 : <부산행>과 <서울역>의 배제당한 자들 34 위기에 처한 세계와 좀비의 유행 34 ‘무기력한 좀비’에서 ‘노오력하는 좀비’로 38 괴물이 되는 인간, 인간이 되는 괴물 4 2 호모 사케르, 배제당한 비인간 47 예외상태에 놓인 자들 51 끝나지 않는 예외상태 54 신자유주의와 위기의 통치술 59 비판적 사유의 침묵 62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65 2장 비인간의 존재론 : 안드로이드, 괴물, 이방인, 그리고 좀비 71 좀비라는 물음표 71 두 가지의 생명 : 비오스와 조에 73 SF영화 속 안드로이드 75 로보캅과 아이언맨 : 인간과 기계의 혼합 85 기계의 신체와 좀비의 신체 90 그로테스크의 교훈 93 죽음, 친숙하고 낯선 좀비 98 윤리의 실종과 죽음 산업의 성공 99 뱀파이어, 늑대인간, 좀비 107 괴물은 언제나 우리와 닮았다 112 이방인과 유령 : 경계를 파괴하는 것들 116 인간/비인간 개념의 구분 불가능성 121 좀비학 : 인간학의 안티테제 126 2부 좀비는 어떻게 탄생하고 살해당했는가? 3장 인간의 탄생과 제국주의의 타자 : 식민지 노예와 부두교좀비 129 인간의 파산 129 인간이란 무엇인가? 131 중세의 종말과 셰익스피어 136 근대의 시작과 데카르트 139 근대적 주체의 이분법과 차별 143 제국주의와 좀비의 탄생 147 시브룩의 마법의 섬 152 화이트 좀비 : 하얀 인간, 검은 좀비 156 나는 좀비와 함께 걸었다 : 서구적 이성과 초자연적 주술 161 니체의 울음 164 4장 인간의 죽음과 안티-휴머니즘의 괴물 : 반근대적 주체와 식인좀비 169 안티-휴머니즘과 식인좀비의 탄생 169 니체와 신의 죽음 174 푸코와 인간의 죽음 177 르네상스부터 근대까지 179 반근대적 주체로서의 좀비 182 휴머니즘과 폭력 186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 규범적 가정의 몰락과 인종차별 비판 190 시체들의 새벽 : 자본주의 비판과 가능성 195 인간과 휴머니즘, 그 이후 199 좀비영화의 침체기와 좀비게임 206 5장 파국의 세계와 심화되는 공백 : 신자유주의와 밀레니엄좀비 209 21세기와 뛰는좀비의 등장 209 공백의 심화와 과학기술 212 금융자본주의에서 좀비자본주의로 216 문화산업과 도착적 감정의 유대 224 신체 없는 기관과 연료-좀비 231 파국의 공포와 죽음의 유대 234 신자유주의의 팽창과 정체화의 욕망 239 난민과 테러리즘, 그리고 자가-면역의 괴물 242 봉합되지 않는 묵시록 250 심화되는 가정의 붕괴 255 좀비지도와 속도의 지옥 257 시스템의 폭력과 공권력의 부재 261 신자유주의 서바이벌 가이드 264 한국과 좀비장르 271 3부 좀비는 어떻게 저항하고 탈주하는가? 6장 괴물에서 벗어나는 좀비들 : 포스트휴먼과 포스트좀비주체 277 파국에서 벗어나기 277 존재론적 전회 281 인간, 그 이후를 사유하기 285 휴머니즘 이후, 포스트휴머니즘 288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양한 갈래 292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296 일원론적 포스트휴먼 299 괴물에서 벗어나기 : 뛰는좀비에서 포스트좀비로 308 질병과 포스트좀비 313 소수자와 포스트좀비 322 유목적 포스트휴먼 334 7장 폐허를 딛고 새로운 주체를 발명하기 : 좀비시위와 포스트좀비의 정치학 337 다중 주체 337 포스트좀비의 전사 : 좀비의 정치성 343 파국의 역설적 가능성 347 인싸 혹은 아싸, 좀비라는 마이너리티-되기 350 좀비시위의 발발 : 월가 점령 시위의 다중 356 촛불집회와 육체 정치 362 뇌과학과 좀비의 회복 374 공항을 방황하는 좀비 378 감히 욕망하라! 384 가능성으로 흘러넘치는 세계 390 정체성의 폐지 : 증오에서 사랑으로 396 8장 일상 없는 삶의 지속과 반복 : 지리멸렬한 파국과 냉소하는 좀비 404 냉소하는 좀비의 탄생 404 예능 프로그램의 일상화와 일상의 불가능성 408 관음하는 좀비와 타인의 일상 413 효리네 민박과 한끼줍쇼 : 전면화되는 비상 418 욜로 혹은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좀비와 코로나19 팬데믹 21세기는 ‘좀비의 세기’로 기록될 것이다. 가히 ‘좀비 현상’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분야와 장르를 막론하고, 사회와 문화 전반에서 좀비가 출몰하고 있다. <부산행>은 1,100만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고, 드라마 <킹덤>은 전 세계에 K-좀비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오늘날 좀비는 영화, 드라마, 소설, 그래픽 노블, 게임, 웹툰 전반을 장악했으며, 이제는 학계에서도 좀비를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보고 있다. 좀비에 관한 연구가 언제 갑자기 일어날지 모르는 치명적 감염병에 대한 시뮬레이션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보고 있듯이 전례 없는 팬데믹 시대를 맞아 좀비에 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과 이로 인해 손쓸 수 없이 파괴되고 망가져 가는 세계의 모습은 마치 좀비영화가 현실에서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 듯한 기시감을 불러일으킨다. 우리는 코로나 팬데믹 이외에도 대규모의 자연재해, 기후변화, 초미세먼지, 방사능 유출, 금융위기, 양극화, 테러리즘, 전쟁 등 현대사회가 처한 위기의 목록을 끝없이 열거할 수 있다. 좀비영화는 인류문명이 멸망하는 순간을 압도적 스펙터클로 재현한다. 금방이라도 스크린에서 뛰어나올 것만 같은 생생한 위협으로 나타나는 좀비는 보는 이로 하여금 임박한 파국을 온몸으로 체감하게 만든다. 사람들은 좀비영화를 보며 내가 사는 세계가 더 이상 안전한 곳이 아니며, 언제라도 멸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세계의 종말이라는 묵시록적 공포와 불안감은 좀비의 유행을 견인하는 원동력으로 작동한다. ‘생활 속 거리두기’ 강화로 인한 관객 수 감소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K-좀비영화 와 <반도>가 개봉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공중파에서는 드라마 <좀비탐정>이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다. 이렇듯 세계가 처한 위기의 정도에 비례하여 좀비의 출몰은 잦아지며, 좀비는 사람들의 불안과 공포의 정동을 양분 삼아 번성한다. 이 책에 따르면 좀비는 매 시대의 상황과 정동을 반영하며 가장 다채롭고 다양한 형태로 변용되어 온 괴물이다. 좀비는 사람들이 지닌 막연한 불안감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알레고리다. 저자는 좀비를 통해 한국사회의 오늘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다가올 미래를 예비할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좀비학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좀비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정초하고자 시도한다. 그에 따르면 좀비는 인류의 타자에 대한 유구한 억압과 배제의 역사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좀비학은 무엇보다 주체와 타자 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문제 삼고 재설정해야 한다. 좀비학은 인간학의 안티테제로서 인간학과 긴밀하게 연관되며, 특히 주체성 변화의 도정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며 전개된다. 좀비학은 오늘날 인간을 둘러싼 여러 담론들과 인간에게 부여된 지위가 전혀 자명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인간학이 형성된 역사와 배경을 추적하고 인간학을 해체하고자 한다. 좀비학은 인간이 만든 폭력적이고 차별적인 구도에 문제를 제기하며, 우리 시대에 가장 근원적이며 ‘혐오스러운’ 타자(좀비)를 사유의 중심에 두고, 인간학을 그 토대부터 전복하려는 사유 양식이자 태도다. 좀비학은 ‘존재론적 전회’를 통해 좀비가 인간뿐 아니라 다른 존재자들과 존재론적으로 동등하다고 주장한다. 좀비학은 인간을 정체성이나 유사성에 기반한 위계로부터 구해내며, 가장 먼 타자 모두와 함께 공존하는 존재로서 구성하고자 한다. 좀비학은 파국으로 치닫는 현 세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한다. 좀비학은 인간이 해체된 자리에서 출발해 우리 시대의 새로운 사유와 발견들을 자원으로 활용한다. 좀비학은 현재의 지배적인 담론, 억압적인 권력, 파국적인 세계에 대항하는 긍정의 존재론, 정치적인 주체, 제도적 배치들을 창안하며, 궁극적으로 지금과는 다른 삶과 세계를 발명하려는 집요하고 줄기찬 노력이며 결말이 열린 운동이다. 부두교좀비의 탄생은 데카르트의 근대철학에서 비롯된다 저자는 최초의 좀비 탄생이 근대철학과 제국주의의 결합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중세 신본주의 세계관의 급격한 붕괴 속에서 데카르트는 새 시대를 위한 철학을 마련하려 했다. 데카르트의 철학에서 인간은 유일하고 우월한 이성적 존재, 생각하는 명석 판명한 주체로 여겨진다. 이제 유럽인은 선험적이며 확고부동한 주체, 보편적이고 균질한 주체로서 세계의 중심에 자리 잡는다. 반면에 여기에서 벗어나는 이질적인 존재들은 인간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하는 비인간이 된다. 이런 주체 중심적 관념은 역사철학과 결합하여 제국주의 지배의 정당성을 설파하고, 다른 인종을 착취하고 죽이는 데 정당성을 제공한다. 데카르트는 인간만이 영혼을 지닌 존재이며, 동물은 영혼이 없는 ‘자동인형’이라고 보았다. 마찬가지로 피식민지의 주민 역시 자동인형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들을 채찍질하고 죽인다 해도 인간은 아무런 죄책감을 느낄 필요가 없으며, 이들이 내는 신음은 그저 기계의 삐걱거림처럼 기능상의 이상을 알려주는 신호일 뿐이다. 저자는 다양한 문헌과 영화들을 분석하여, ‘부두교좀비’가 백인이 자신을 보편적인 주체로 정립하면서 배제한 바깥에서 탄생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20세기 초까지 서구 문화는 피식민지 노예를 끔찍하지만 위협적이지는 않은 무기력한 비인간, 부두교좀비라는 인간 이하의 타자로 상상했다. 이들은 자신의 처지조차 깨닫지 못하는 가련한 비생명들로, 원래 있어야 할 곳(집, 무덤)에서 이탈되어 부당하고 과도한 노동에 고통받으며 죽어가는 노예다. 이들은 주술사에게 조종되는 꼭두각시에 불과하며, 백인의 지배나 인도가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비주체로만 존재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식인좀비는 안티-휴머니즘의 반근대적 괴물이다 근대철학의 가장 강력한 적대자인 니체는 ‘신’의 절대성에 근거한 인간 개념의 해체를 위해 ‘신의 죽음’을 선언했으며, 뒤를 이어 푸코는 ‘인간의 죽음’을 선언했다. 푸코에 따르면 ‘인간’ 개념은 발명된 지 수백 년에 지나지 않은 담론적 구성물이며, 모래사장에 그려진 그림과도 같아 이내 사라질 위태로운 형상에 불과하다. 저자는 구성된 담론이자 관습적 의미에서의 근대적 인간 주체는 이제 종말을 맞이했으며, ‘식인좀비’야 말로 반근대적 괴물이라고 주장한다. 로메로 감독은 인간의 죽음과 휴머니즘의 종말을 온몸으로 표상하는 괴물 식인좀비를 탄생시켰다. 로메로의 영화에서 식인좀비는 부모와 가족을 살해하며 닳아빠진 근대적 가치체계에 징벌을 내린다. 근대적 주체는 영혼과 육체를 이분법적으로 나누고, 영혼에 특권을 부여한다. 반면 좀비는 영혼 없는 육체로서 등장하여, 육체가 내리는 정언명령인 배고픔에 굴복하여 타인을 살해하고, 그 육체를 먹는다는 점에서 철저히 반근대적이며 반휴머니즘적이다. 좀비는 근대적 인간 주체가 지녔다고 가정되며, 다른 존재와 변별되는 특성으로 여겨지는 가치들(인간으로서의 존엄, 이성, 윤리 의식)을 철저히 배반하고 짓밟는다. 이 책은 근대적 인간 개념과 휴머니즘의 폭력을 비판하지만, 동시에 허무주의적 안티-휴머니즘으로 빠지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주체를 최후까지 제거해 버리면, 어떠한 변화를 위한 행위 주체 역시 상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현재의 퇴행적 반복, 몰락의 항구적 지속만을 남길 뿐이다. 저자는 인간과 휴머니즘의 죽음 선언이 인간의 본질이나 존재 근거, 혹은 도덕과 윤리를 사라지게 하려는 허무주의나 반-사회적 기획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것은 상실이나 부정적 함의로 축소되지 않으며 오히려 긍정과 생성의 가능성을 내포하는 현대철학의 출발점이다. 뛰는좀비는 우리 시대의 위기와 모순을 폭로하는 기표다 뛰는좀비영화에서 출몰하는 좀비는 가공할 파괴력으로 순식간에 세계 전체를 유린한다. 사람들은 그 안에서 서로 아귀다툼을 벌이며 서로 죽고 죽이다가 결국 절멸에 이른다. 인간들이 아무리 높은 장벽을 세우고 안전지대를 마련하더라도 좀비는 끝내 그것을 돌파하고 인류를 파멸로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