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독자들에게
-서문 | 왜 지금 『문명론의 개략』인가?
제1부
1. 일본의 과제로서의 문명Ⅰ(정독 1―서언)
과제로서의 문명론 / 이종 문명과의 접촉ㆍ문명화의 충동 / 한 몸으로 두 인생을 사는 체험, 그 요행
2. 일본의 과제로서의 문명Ⅱ(정독 2―제1장 논의의 본위를 정하는 일)
어째서 ‘논의’가 문제되는가 / ‘문명’을 본위로 한 논의 / 급진적 문명론의 성립 조건
3. 일본 문명화의 기본 설계(정독 3―제2장 서양문명을 목적으로 하는 일 (1))
문명은 상대적인 것 / 문명론적 세계의 색깔 구분―문명과 야만 / 문명의 제1단계: 야만 상태 / 문명의 제2단계: 반개 상태 / 문명의 제3단계: 문명 상태 / 일본 문명화의 전략 / 밖의 문명과 안의 문명 / 인민의 문명론적 혁신과 형성 / 문명사회ㆍ다사의 세계 / 전제적인 국가 지나론 / 일본: 권력과 권위의 이중성 / 역사의 요행
4. ‘국체론’의 문명론적 비판(정독 4―제2장 서양문명을 목적으로 하는 일 (2))
국체론의 탈구축 / 절대적 국체관의 해체 / 국체의 단절이란 / 정치체제의 변혁가능성 / 혈통과 국체의 연속성 / 지켜야 할 국체란 / 낡은 습성의 혹닉
5. 문명적 사회와 정치체제(정독 5―제3장 문명의 본지를 논함)
문명이란 상대적인 말 / 문명이란 무엇인가 / 문명은 어떤 정치체제를 요구하는가 / 혹닉적 사고양식의 비판인가 / 경험주의적 비판의 원칙 / 합중정치의 현상
제2부
6. 일국이 문명적이라는 것은(정독 6―제4장 일국 인민의 지덕을 논함 (1))
일국 인민의 지덕 현상 / 일국 규모에서 생각하는 시각 / 일국의 발전 단계와 일국의 뜻 / 일국의 인심을 한 덩어리로 보는 것
7. 일국의 문명화의 역사를 보는 눈(정독 7―제4장 일국 인민의 지덕을 논함 (2))
형세, 시세라는 말 / 사론이라는 역사 담론 / 역사에서 영웅은 무엇인가 / 공자와 맹자는 시세를 몰랐다 / 유교 비판의 의미 / 구스노키 공은 때를 만나지 못했는가 / 시세는 사람의 마음에 있다
8. 문명론적 사회동태사(정독 8―제5장 전론前論의 계속)
중론이란 무엇인가 / 언론적 동태사, 유신사의 예 / 지력과 전제의 싸움 / 지력과 중론 / 입을 열어 논의를 발하라
9. 문명적인 지성과 모럴(정독 9―제6장 지덕의 변)
지덕의 재구성 / 지-덕의 구별과 재구성 / 도덕주의 비판 / 일본에 급히 필요한 것은 지혜 / 덕의 배경을 잃은 지
10. 목적으로서의 문명사회(정독 10―제7장 지덕이 행해져야 할 시대와 장소를 논함)
문명화의 때와 장소 / 반문명적ㆍ반지적 사회 / 사람의 지혜가 발달하는 모습 / 독립 인민과 정부―급진적 자유주의 / 정의적 사회와 규칙적 사회
제3부
11. 일본 문명의 비판(정독 11―제9장 일본 문명의 유래)
서양-일본의 비교사회론 / 권력 편중 사회 / 일본 문명은 두 원소뿐이다 / 일본에 국민(네이션)은 없다 / 일본적 이데올로기 비판
12. 일국의 독립과 문명화(정독 12―제10장 자국의 독립을 논함)
현재 일본의 목적은 독립에 있다 / 일본 문명화의 지금 / 휴식하는 인민 / 국체론, 신민적 통합론 비판 / 기독교와 선진국가의 현실 / 근대국가와 전쟁 / 일본이 직면하고 있는 병=어려운 일이란 / 내외 권력의 불평등 / 외국 교제, 차별의 실상 / 목적으로서의 독립, 수단으로서의 문명
-마무리 | 『문명론의 개략』 다시보기의 과제
-저자 후기 / 역자 후기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