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사회학

크리스 쉴링 · 사회과학/인문학
432p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몸에 관한 담론이 무성한 가운데 몸에 관해 사회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성과들과 그 한계까지 깔끔히 정리한 연구서. 몸과 정신, 자연과 문화, 생물과 사회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가 지배하는 풍토에서 몸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저자는 마지막으로 죽음의 문제를 다루면서 몸에 쏟는 인간의 노력과 투자의 한계를 명백하게 드러내 몸이 사회적 산물이지만 본질적으로 생물학적 실체임을 주장한다.

저자/역자

목차

˙옮긴이 서문 5 ˙개정판 지은이 서문 13 1. 들어가는 글 25 후기 근대성 속의 몸 26 불확실한 몸 28 몸 프로젝트 30 사회학과 몸 36 이 책의 목적 39 이 책의 개요 45 2. 몸의 사회학적 지위? 51 고전사회학의 몸 58 사회학에서 몸의 부상(浮上) 64 요약 79 3. 몸에 대한 자연주의적 관점 81 자연적 몸의 등장 83 ‘여성들의 고충’ 86 사회생물학 92 위험한 ‘타인들’ 101 특권을 가진 몸 108 왜곡된 몸 113 요약 121 4.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몸 123 인체의 구성 127 권력, 담론 그리고 몸 130 푸코의 분석에서 사라지는 몸 135 고프만의 일상생활에서의 몸의 표현 140 몸과 사회적 상호작용 142 사회적 정체성과 자아정체성, 그리고 몸 145 고프만의 관리 가능한 몸이란? 147 터너의 몸과 사회질서 150 프랭크의 몸과 인간행위 157 요약: 간극의 연결 163 5. 몸과 사회적 불평등 167 몸의 재구조화 168 성별화(性別化)된 몸의 구성 177 몸의 부정(否定) 178 몸의 변형 181 성별화된 몸의 재생산 183 감정적 몸 188 노동과 몸, 그리고 감정 193 요약: 불평등의 체현(體現) 203 6. 몸과 육체자본 207 몸의 사회적 형성 210 몸과 사회적 차이 212 변화하는 몸 217 육체자본의 전환 221 육체자본의 가치변화 225 육체자본의 전달과 통제 230 올바른 몸 234 결 론: 235 7. 문명화된 몸 241 몸의 역사적 발달 246 몸과 차별화 추구 251 몸의 사회적 상호의존성 258 문명화된 몸 260 문명화된 몸의 붕괴 266 엘리아스 이론 비판: 몸의 역사 269 8. 몸과 자아정체성 그리고 죽음 277 몸의 패러독스 280 근대성과 자아정체성 285 몸의 죽음 292 죽음의 가시성(可視性) 296 죽음의 유예(猶豫) 300 죽음과 자아도취적 인간 303 사랑, 섹스 그리고 죽음 307 죽어가는 자들의 고독 308 9. 맺는글 311 구조화 이론의 분열증적 몸 315 다양한 몸 연구들 318 후기: 체현, 정체성과 이론 321 부재하면서 존재하는 몸 322 ˙텅 빈 몸 326 몸과 자기정체성 328 자기정체성과 잠재된 몸 329 ˙부정적으로 등장하는 몸 혹은 다시 등장하는 몸 332 잠재된 몸 해체하기 334 프로젝트, 선택 및 관리양식으로서의 몸 337 ˙몸 프로젝트 338 ˙몸 선택지 340 ˙몸 관리양식 343 가면으로서의 몸 347 ˙구속복으로서의 가면 348 ˙연기로서의 가면 353 상보성과 몸 이미지 356 ˙접점들 357 ˙몸 도식 358 몸 이론의 새로운 방향들 362 ˙명령받는 몸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적 분석 363 ˙‘체험된 몸’에 대한 행위 중심적, 현상학 연구 365 ˙몸에 대한 구조화 이론 367 ˙매개이론, 매개되는 몸 368 결 론 376 ˙ 참고문헌 379 ˙ 찾아보기 421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 책은 인간의 몸을 주제로 한 20세기 주요 이론가들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통해, 몸과 관련된 최근의 다양한 사회적 학문적 쟁점들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한다. 1993년에《몸의 사회이론》이라는 제목으로 첫 출간되어 1996년과 1997년에 잇달아 재판을 찍을 만큼 상당한 독자층을 확보하면서 서구사회에서 ‘몸의 사회학’ 지평을 넓히는 데 크게 기여한 책으로 인정받았다. 초판에서는 몸의 사회학적 지위, 몸에 대한 자연주의적ㆍ사회주의적 관점, 몸과 사회적 불평등, 몸과 육체자본, 문명화된 몸, 몸과 자아정체성, 죽음에 대해 설명했다. 개정판은 여기에 더해 다이어트, 섹슈얼리티, 재생산기술, 유전공학, 스포츠과학의 발달이 어떻게 몸을 사회적 대안과 개인적 선택의 장소로 만들고 있는지 설명한다. 또한 몸에 대한 최근 페미니스트 접근방식과 현상학적, 행위중심적 접근방식들과 ‘몸 프로젝트’나 ‘몸 가면’ 등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탐구하는 한편, 몸과 자기정체성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