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차를 만나는 여행

서지연
248p
Where to buy
content
Rate
1.5
Average Rating
(2)
Comment
More

외식산업학부 교수로 학생들에게 차를 비롯한 커피 등 식음료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저자가 '홍차의 나라'로 알려진 영국의 런던에서 생활하면서 영국인들의 홍차 문화에 매력을 느끼고, 홍차 맛에 푹 빠지면서 다양한 홍차 문화를 경험하고 쓴 에세이. 홍차의 발전 과정, 제다 과정, 등급, 분류, 다구, 홍차 음료, 티 테이스팅, 유명 브랜드 등을 폭넓게 다룬다.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

Table of Contents

홍차의 이모저모 홍차란 / 13 차나무 살펴보기 / 15 찻잎의 성분 / 17 홍차의 발전 홍차 탄생의 배경 / 23 유럽에 수출된 홍차 / 25 홍차의 영국 전파 / 26 미국의 보스턴 차 사건 / 28 차를 계기로 시작된 아편전쟁 / 29 쾌속 범선들의 차 운반 경쟁 / 30 대영제국의 홍차 탄생 / 31 홍차의 제다 과정 전통방식, Orthodox / 38 로터반 방식, Semi Orthodox / 43 CTC(Crush Tear Curl) 방식 / 43 홍차의 등급 홀 리프(Whole leaf) 타입 / 49 브로큰(Broken) 타입 / 50 그 외 등급 / 51 홍차의 분류 산지별 분류, 스트레이트 티 / 55 블렌드(Blend)에 의한 분류 / 74 가향(Flavored)에 의한 분류 / 76 티타임에 의한 분류 / 77 홍차의 꽃, 다구의 선택 티포트(Tea pot) / 81 티 컵(Tea cup) / 83 스트레이너(Strainer) / 85 메저 스푼(Measure spoon) / 85 티코지(Tea cozy)와 티워머(Tea warmer) / 86 타이머와 모래시계 / 87 티캐디(Tea caddy) / 87 그 외 도구들 / 88 홍차 우리기 물과 홍차 / 97 적절한 찻잎의 사용과 우리는 시간 / 100 올바른 점핑 / 100 티백 우리기 / 103 홍차 음료 사과홍차(Apple Tea) / 107 딸기홍차(Strawberry Tea) / 107 티 펀치(Tea Punch) / 109 키위 아이스 티(Iced Kiwi Tea) / 109 바나나 초콜릿 아이스 티(Iced Choco Banana Tea) / 111 아몬드 밀크 티(Almond Milk Tea) / 111 메이플 밀크 티(Maple Milk Tea) / 113 브랜디 티(Brandy Milk Tea) / 113 티 테이스팅 티 테이스팅이란 / 117 티 테이스팅 과정 / 118 차를 평가하는 용어들 / 119 세계 유명 홍차 브랜드 웨지우드(Wedgwood) / 127 아마드(Ahmad) / 128 헤로즈 티(Harrods Tea) / 129 로네펠트(Ronnefeldt) / 130 트와이닝스(Twinings) / 131 립톤(Lipton) / 132 딜마(Dilmah) / 133 루피시아(Lupicia) / 134 포숑(Fauchon) / 135

Description

오랜 옛날에는 음식이나 약(藥)으로 차가 사용되었고, 찻잎을 말려 뜨거운 물에 우려 마시는 지금과 같은 형태는 아니었다고 합니다. 그 시작은 중국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약 5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홍차는 중국에서 제다되던 여러 종류의 차 중 하나였는데, 17세기경 유럽으로 수출되면서 인기를 끌게 되었고 특히 영국인들에게 사랑을 받았습니다. 현재도 영국이 ‘홍차의 나라’로 알려진 걸 보면 그들 문화의 중요한 부분임은 틀림없는 듯합니다. 제가 처음 홍차를 맛본 것은 런던에서 보내던 고등학교 시절이었습니다. 벌써 20년 정도 된 얘기입니다. 영국에 도착하자마자 초대받아 갔던 곳에서 귀한 홍차라며 대접해 주셨는데 맛과 향이 낯설어 ‘왜 이런 걸 즐길까’ 내심 의아해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곳 생활에 적응하면서 차츰 홍차에도 적응하게 되었습니다. 오후 4시경만 되면 일상의 바쁜 일들을 잠시 접어둔 채 티타임을 즐기던 그들의 문화… 티타임이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는 또 그 유래가 어찌되었던 간에 나의 눈에는 ‘바쁜 가운데 자기를 돌아보고, 한 박자를 쉬어가기 위해 꼭 있어야만 하는 시간’으로 비쳤습니다. 영국에서 돌아온 후 한동안 잊고 지내던 홍차를 다시금 접하고 공부하게 되면서 여러 정보를 묶어보았습니다.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