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콘텐츠 아카이빙

노명환 and 15 others
280p
Where to buy
content
Rate
4.0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아카이브는 정의와 어떠한 작업인지에 관한 문제 제기로부터 시작되는 책이다. 아카이브는 장소로서의 기록보존소 또는 기록 그 자체를 의미하며, 이는 인간 경험의 중거물로서 지식의 원천을 이룬다. 지식의 보고로서 기록보존소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운영되며 기록보존소 안의 기록은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갖는가? 우리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기록이 기록보존소 안에 존재하게 될 때까지의 과정, 즉 아카이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명활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아카이브는 이러한 아카이빙의 결과이고 기록을 의미할 때 아카이빙의 대상이 된다. 본문을 통해 기록의 수집, 평가, 선별, 분류, 정리, 기술, 보존과 서비스 과정을 이론적이고 실무적 차원에서 살펴본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아카이브 콘텐츠 아카이빙』 책을 펴내며 _ 5 총론: 아카이브와 콘텐츠, 콘텐츠와 아카이빙 _ 11 제1부 아카이빙의 이해 _ 25 1-1. 아카이브와 아카이빙 27 1. 기록, 레코드, 아카이브 27 2. 기록 관리와 아카이빙 · 32 3. 기록 관리의 기본 원칙 34 1-2. 아카이빙의 과정 39 1. 생산과 등록 · 39 2. 선별과 평가 · 42 3. 기록의 조직화 · 50 1-3. 아카이빙 사례 : 마을기록관 · 55 1. 마을문화의 활성화와 밑으로부터의 기록 55 2. 마을기록관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 57 3. 마을기록관에 무엇을 남길 것인가 · 60 4. 마을기록관을 어떻게 활용하고 운영할 것인가 · 61 제2부 콘텐츠의 이해 _ 65 2-1. 콘텐츠, 문화산업 67 1. 콘텐츠란 무엇인가? 67 2. 문화와 문화산업 73 2-2. 스토리텔링과 콘텐츠 81 1. 그림에서 문자로 표현 발전된 스토리텔링 · 82 2. 이야기와 스토리텔링 83 3. 기록이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87 4. 아날로그 아카이브에서 디지털 아카이브로 90 5. 디지털 기록과 스토리텔링 93 6. 기록 활용과 스토리텔링 사례 · 96 2-3. 라키비움과 기록 전시 · 105 1.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탄생 105 2. 라키비움의 가능성 106 3. 다양한 라키비움 기관과 전시 · 107 2-4. 아카이브 큐레이션과 콘텐츠 · 121 1. 기록의 주체와 역사 서술 121 2. 시민 기록과 아카이브 큐레이션 · 123 3. 기억+기록 콘텐츠 125 2-5. 기억과 기록, 그 매체로서의 기록영화 · 137 1. 기억과 기록 · 137 2. 기록 매체론 · 141 2-6. 감독으로서 바라본 기록영화의 사회적 역할 - 4가지 작품을 중심으로 · 147 1. 기록영화 제작의 실제 · 147 2. 4가지 작품들을 통해 본 기록영화의 사회적 역할 147 제3부 아카이빙과 콘텐츠의 실제 _ 155 3-1. 웹기록 콘텐츠 · 157 1. 기록정보 콘텐츠 157 2. 기록정보 콘텐츠 구축 사례 163 3-2. 개인 맞춤형 서비스 · 181 1. 개인화 서비스 개요 · 181 2. 개인화 서비스 유형 · 182 3. 추천 시스템 · 184 3-3. 소셜미디어 아카이브와 콘텐츠 활용 189 1. 소셜미디어란? · 189 2. 소셜미디어의 실재와 콘텐츠 활용 · 196 3-4. 방송 아카이브와 데이터 저널리즘 223 1. 영상의 역사와 변천 · 223 2. 디지털 영상을 정리하기 · 233 3. 동영상 분석하기 244 4. 인공지능과 영상 250 5. 종합 정리 · 254 3-5. 디지털 아카이브즈 · 263 1. 디지털 아카이브와 정보기술 263 2. 디지털 아카이브와 인공지능 268 3.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보존과 활용 273 찾아보기 _ 275

Description

『아카이브 콘텐츠 아카이빙』 책을 펴내며 이 책은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연구 지원 사업인 <<HUFS 특성화 사업>>의 지식콘텐츠학부 프로그램 개선 및 교재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이는 콘텐츠학에서 아카이브와 아카이빙의 기록학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속에서 이루어졌다. 기록학과 콘텐츠학의 융합을 통해 학문의 새로움과 풍성함을 추구했다. 예를 들어, 기록학은 콘텐츠학을 통해 그 활용성을 더욱 높이고 콘텐츠학은 기록학을 통해 탄탄한 기반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을 확고히 했다. 기록학과 콘텐츠학의 관계와 그 의의에 대해서는 이 책의 첫 장인 총론에서 자세히 다룬다. 기획 과정에서 지식콘텐츠학부 운영위원회 선생님들께서 큰 노고를 쏟아주셨다. 깊이 감사드린다. 이 책이 전문 연구가들, 일반인 그리고 학부 학생들은 물론 대학원생들에게 이 분야의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 분야를 위한 좋은 책들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것을 약속한다. 본서의 집필을 위해 한국기록과정보·문화학회 회원이시면서 한국외대 인문대학 정보·기록학 융합전공 및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인문대학 지식콘텐츠학부에서 강의 하시는 선생님들께서 많은 수고를 해주셨다. 특히, 이 저자 선생님들 가운데서 편집위원으로 위촉되신 선생님들께서 열정을 쏟아 주셨고 한상진 선생님께서는 최종 원고 정리 편집 일을 도맡아서 해 주셨다. 이 자리를 빌어 저자 선생님들, 편집위원, 특히 한상진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이렇게 좋은 책을 만들어 주신 한국외대 지식출판원의 김민정 선생님을 비롯 여러 선생님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7. 8. 저자들을 대표하여 노명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