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사

정종화
271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4(25)
0.5
3.5
5
Rate
3.4
Average Rating
(25)
Comment
More

한국영화사 100년을 정리한 책. 처음 한국 땅에 영화 매체가 들어온 1897년 즈음부터 2000년대인 지금까지 100년이 넘는 시간을 담았다. 발성영화의 성공 같은 기술적 변화는 물론 6.25전쟁과 같은 정치사회적 변화와 영화법 제정 같은 정책적 변화까지 반영한 시대적 변화를 담았다. 본문과 박스 지면을 유기적으로 활용해 작은 책에 가능한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문에서는 영화정책과 산업, 당대의 주요 장르 및 경향, 언급할 만한 감독과 미학 등을 각각 챕터로 구분해서 두루 살폈다. 책은 어떤 부분을 펼쳐도 이해되기 쉽게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었다. 좋아하는 여배우에 대한 호기심으로 넘기거나 본격적인 영화사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입문서로 읽어도 될 만큼 쉽게 만들어졌다. 풍부한 도록과 사진, 그리고 포스터 등이 함께 어우러져 한국 영화에 대한 자료로도 가치가 있다.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Rating Graph
Avg 3.4(25)
0.5
3.5
5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

Table of Contents

서문 1장 활동사진의 도래 그리고 한국영화의 탄생(1897~1923) 1.활동사진의 시대 2.활동사진의 흥행 공간,극장 3.연쇄극의 등장,<의리적 구토> 4.극영화의 탄생,<월하의 맹서> 2장 무성여화의 르네상스(1924~1934) 1.<춘향전> 대 <장화홍련> 2.나운규의 <아리랑> 3.무성영화 시대의 감독 4.카프KAPE 영화운동 3장 발성영화의 시대 그리고 국책영화(1935~1945) 1.발성영화의 등장 2.'조영','고영'의 스튜디오 시대 3.2세대 영화인의 등장 4.국책영화의 제작 4장 해방 그리고 6·25전쟁(1945~1953) 1.해방공간의 영화계 2.해방기의 한국영화 3.6·25전쟁 시기 영화 활동 4.전쟁 중의 영화제작 5장 한국영화의 성장과 중흥(1954~1961) 1.한국영화 성장기,그 다채로운 풍경 2.1950년대 후반 영화 스튜디오의 건립 3.중흥기의 형성 과정 4.중흥기의 장르 경향 6장 한국영화의 르네상스(1962~1969) 1.영화법 제정과 기업화 정책 2.다양한 장르의 만개 3.시네마스코프의 시대 4.김독계보 그리기-한국영화의 세대교체 7장 통제와 불황의 악순환,1970년대 한국영화(1970~1979) 1.저질영화 양산체계 2.1970년대 대표 장르들 3.청년영화/문화 그리고 '영상시대' 4.테크니스코프 영화 8장 암흑 속의 모색,1980년대 한국영화(1980~1989) 1.제작 자유화 그리고 할리우드 직배 저지 투쟁 2.1980년대 대표 장르 3.영화 문화의 변화 4.영화운동과 독립영화 5.1980년대 한국영화의 세대교체-코리안 뉴웨이브 9장 다시 르네상스,1990년대 한국영화(1990~1999) 1.대기업의 영화산업 진출 2.'기획영화'의 등장 3.1990년대 장르 공식,로맨틱코미디와 코믹 액션 4.1990년대 작가주의 5.영화청년의 시대 6.한국형 블록버스터 10장 2000년대의 한국영화(2000~) 1.체질 개선에 들어간 영화산업 2.'웰 메이드'영화 3.장르영화의 가능성 4.디지털 시네마 참고문헌 색인

Description

대중 독자들이 쉽고 간편하게 한국영화사와 만난다 원로영화인, 원로영화사가들의 저작에 이어 한국영화사 책이 한 권 더 더해진다. 바로 Film Story총서의 첫번째 권인 이다. 이 책의 특징은 대중 독자들이 간편하게 한국영화사와 만날 수 있도록, 포켓북 한 권 분량 안에 한국영화사 전체를 개괄한 것이다. 작은 책 한 권에 영화사 100년이 담겼다 해서 결코 내용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가능한 한 많은 내용을 책에 담을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박스 지면을 활용했고, 서술의 깊이와 밀도도 놓치지 않았다. 또 대학생이나 일반인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이 책을 접할 수 있도록 사진, 포스터 등 풍부한 이미지 자료도 감각적으로 배치했다. 저자는 소장 한국영화사 연구자인 정종화이다.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한국영화사 100년을 문자와 이미지로 세련되게 정리하는 것을 작업의 방향으로 삼았다." 작지만 충실하다, 한 권으로 읽는 한국영화사 100년 이 책은 처음 한국 땅에 영화 매체가 들어온 1807년 즈음부터 2000년대인 지금까지 100년이 넘는 방대한 시간을 열 개의 장으로 구분했다. 1960년대까지는 그간 한국영화사 서술에서의 시기 구분을 반영해 6장으로 구성했는데, 발성영화의 성공 같은 기술적 변화, 6.25전쟁 같은 정치사회적 변화, 영화법 제정 같은 정책적 변화 등을 시기의 변곡점으로 삼았다. 1970년대부터는 10년 단위로 구분해 2000년대까지 4장으로 구성했다. 각 장은 본문과 박스 지면을 유기적으로 활용했다. 본문에서는 영화정책, 산업 같은 환경으 ㅣ변화, 당대의 주요 장르 및 특별한 장르 경향, 언급할 만한 감독군과 미학 그리고 영화 기술 영화문화의 변화 등을 각각 챕터로 구분해 두루 살펴보았다. 이처럼 한국영화사의 전체적인 지도를 그려보는 동시에,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은 박스 지면을 통해 챙길 수 있도록 했다. 당대의 주요 작품, 영화인 등 강조할 만한 내용들은 다양한 박스로 구분해 독자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저자는 이 책으로 편하고 쉽게 한국영화사를 읽고 이해해, 부디 많은 사람들이 우리 영화사를 잘 알았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포켓북 한 권으로 떠나는 한국영화사 여행 이 책은, 한 젊은 영화사 연구자가 '한국영화사 100년'을 문자와 이미지로 정리한 작은 역사 책이다. 처음부터 시대별로 쭉 읽어보면 좋겠지만,슬쩍슬쩍 넘겨보며'한국 최초의 영화감독','1960년대 트로이카 여배우'같은 정보로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도 좋을 것이고,눈에 들어오는 영화 장면이나 배우의 사진이 있으면 잠깐 멈추고 주변의 글을 읽어보는 방법도 괜찮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부디 많은 사람들이 편하고 쉽게 우리 영화사를 잘 알았으면 좋겠다.

Collections

5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