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털 커먼즈

이광석 · 인문학/경제서/사회과학
400p
구매 가능한 곳
평가하기
3.5
평균 별점
(3명)
동시대 디지털 기술세계의 확대에 의해 파생되는 ‘피지털’계의 등장을 주목한다. ‘피지털’은 ‘피지컬’과 ‘디지털’을 합친 조어로, 두 공간 지각이 뒤섞인 혼합 현실을 지칭한다. 『피지털 커먼즈』는 거의 모든 유무형 자원을 포획하고 뭇 생명을 예속화하려는 플랫폼자본주의의 인클로저 질서에 맞서서 지속가능한 공통의 미래 대안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무너지는 ‘피지털’ 현실에서 우리는 어떤 호혜의 공통장을 기획할 수 있을까? 오늘날 플랫폼자본주의는 디지털계의 기술 논리를 갖고 물질계의 지형과 배치를 좌우하는 역전된 현실을 만들어내고 있다. 우리 사회가 ‘메타버스’에 바치는 숭고와 찬양은 플랫폼 자본이 주도할 피지털계의 인클로저를 알리는 서곡에 해당한다. 이 책은 피지털계의 자본주의적 왜곡을 경고한다. 인간 삶의 조건을 위협하는 이 플랫폼 인클로저 질서를 넘어설 수 있을까? 이 책은 플랫폼 질서에 맞서 다른 삶의 직조를 위해 그리고 대안 실천의 무기력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서 ‘커먼즈’(공통장) 운동을 제안한다. ‘인류세’ 국면 인간-기술-생태의 앙상블을 도모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무엇인가? ‘인류세’ 국면 생태 커먼즈의 구성 논의는 동시대 가장 화급한 쟁점이다. 특히 『피지털 커먼즈』는 생태 커먼즈의 구성에 있어서 인간 기술과 뭇 생명과의 공존 문제를 탐구한다. 기술로 지구를 살릴 수 있다고 믿는 지구공학적 낙관론이나 환경근대주의적 기후위기 해결책은 섣부르고 위험하다. 장기적인 생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좀 더 지역과 장소를 기반으로 한 자원 공동체가 중심이 된 생태 커먼즈의 구상이 필요하다고 이 책은 주장한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저자/역자

목차

서문 6 1부 플랫폼 질서와 커먼즈 위기 1장 데이터사회의 형성과 새로운 인클로저 19 데이터사회의 형성 23 데이터 인클로저 29 포스트휴먼 데이터 주체의 형성 35 데이터 통치술 48 2장 플랫폼자본주의와 커먼즈의 위기 56 플랫폼 장치 61 데이터(은행), 브로커, 알고리즘 63 플랫폼 장치의 주요 특징 72 플랫폼자본주의와 신생 인클로저 78 플랫폼 시대 커먼즈의 구상 93 2부 피지털 커먼즈의 조건 3장 커먼즈, 다른 삶의 직조 102 커먼즈의 실천적 정의 105 커먼즈의 층위 113 비물질계 커먼즈 다시 읽기 117 피지털 커먼즈의 신생 조건 130 4장 공유경제 비판과 도시 커먼즈 145 자원 중개 시장의 탄생 149 공유경제에서 도시 커먼즈로 157 ‘공유도시 서울’의 딜레마 164 공유 정책 모델의 모순과 한계 177 ‘공유도시’에서 ‘커먼즈 도시’로 186 ‘커먼즈 도시’의 정치 위상학 192 3부 문화 커먼즈의 창작 유산 5장 파토스의 문화 커먼즈 200 퍼블릭도메인의 역사와 한계 204 디지털 복제와 미메시스 문화의 일상화 212 복제와 전유의 문제 217 리믹스와 매시업의 층위 221 카피레프트와 예술 저항 228 파토스의 문화 커먼즈 236 6장 아방가르드와 반인클로저 전통 248 다다의 아방가르드적 유산 253 다다의 반예술과 정치미학 259 하트필드의 포토몽타주 267 포토몽타주의 사회 미학적 함의 276 패러디와 문화 커먼즈 281 패러디 미학 287 포토몽타주와 패러디의 동시대성 292 4부 인류세와 생태 커먼즈 7장 ‘인류세’ 지구 커먼즈 297 ‘인류세’ 개념의 출발 301 출구 없는 ‘지구행성’에 매달린 인류 305 ‘탈’인간중심주의가 빠뜨린 것 314 맑스 에콜로지와 ‘자본세’ 320 ‘인류세’ 국면의 포스트휴먼 문제 331 8장 그린 뉴딜과 탈인류세 기획 339 과학기술에 대한 근대주의적 오만 343 기후위기와 테크놀로지의 악무한 347 야만의 테크놀로지에 예속된 타자들 352 급박한 생태 대안, ‘그린 뉴딜’ 실험 356 우리에게 남겨진 선택 364 생태-기술-인간, 공생공락의 관계를 위하여 368 과학기술의 지구 커먼즈적 조건 373 참고문헌 380 인명 찾아보기 393 용어 찾아보기 396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피지털(phygital)의 부상 ‘피지털’은 ‘피지컬’(physical, 물질)과 ‘디지털’(digital, 비물질)을 결합하여 만든 단어이다. 오늘날 물질계와 디지털계의 공간 지각이 뒤섞인 혼합 현실이 출현하고 있음을 표현하는 말이다. 식당에서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에 붙은 QR 코드로 상품 정보를 조회하는 경험들이 ‘피지털’을 비즈니스에 적용한 사례로 언론에 소개된다. 이 책 『피지털 커먼즈』에서 저자 이광석이 주목한 ‘피지털’ 현상은 좀더 광범위한 사회적 의미를 띤다. 저자는 ‘피지털’계의 출현으로 인해 우리는 이제 디지털 신기술이 물질계의 지형과 자원의 배치를 좌우하는 현실을 살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플랫폼자본주의의 피지털 영향력 피지털은 우리에게 디지털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